![[Spring, Spring Boot] @RequiredArgsConstructor란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ahUy2%2FbtsH5uL6lX3%2FIKrLhgkj1KpKu8NVsnuDOk%2Fimg.png)
@RequiredArgsConstructor란 ?Lombok으로 스프링에서 DI(의존성 주입)의 방법 중에 생성자 주입을 임의의 코드없이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어노테이션입니다.@RequiredArgsConstructor는 초기화 되지 않은 final 필드나, @NonNull이 붙은 필드에 대해 생성자를 생성해줍니다 !새로운 필드를 추가할 때 다시 생성자를 만들어서 관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줍니다.(@Autowired를 사용하지 않고 의존성 주입할 수 있습니다.) [@RequiredArgsConstructor 예시]@Controller@RequiredArgsConstructor@RequestMapping("/user")public class RequiredArgsConstructorControllerExa..
![[Spring, Spring Boot] @Controller와 @RestController](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qWCvP%2FbtsH50qc1C7%2FAAmarDanJkLkgjkuu9ygpk%2Fimg.png)
@Controller와 @RestController란?Spring과 Spring Boot에서 컨트롤러를 지정해주기 위한 어노테이션은 @Controller와 @RestController가 있습니다.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와 Restful 웹서비스의 컨트롤러인 @RestController의 차이점은 HTTP Response Body가 생성되는 방식입니다. @Controller란?전통적인 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는 주로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Spring MVC container는 Client의 요청으로 부터 View를 반환합니다. Client는 URI 형식으로 웹 서비스에 요청을 보낸다.Dispatcher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