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트랜잭션이란 ? (Spring/Spring Boot)
IT이론/데이터베이스2024. 3. 25. 23:53[CS] 트랜잭션이란 ? (Spring/Spring Boot)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DB 상태를 변환 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입니다.쪼갤 수 없는 여러 작접들을 논리적으로 최소 단위로 묶은 것입니다. 트랜잭션의 예시 상황많은 블로그에서 보셨던 방식으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온라인 쇼핑몰을 결제할 때, 두가지 작업을 거쳐야합니다.첫 번째 판매처에 돈을 송금하기, 두 번째 판매처에서 고객이 보낸 돈을 받기 두 작업을 한 트랜잭션이라고 할 경우 판매처에 돈을 보냈는데 판매처에서 고객이 보낸 돈을 받지 못하는 경우나, 고객이 돈을 보내지 않았는데 판매처에서 돈을 받는 경우가 생기면 안된다.모든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어야 작업 결과를 적용(commit)하고, 트랜잭션에 속한 모든 작업 중에(1번이나 2번 둘 중) 하나라도 오류가..

[CS] 데이터 모델링이란 ?
IT이론/데이터베이스2024. 3. 1. 18:02[CS] 데이터 모델링이란 ?

요약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데이터 요구사항을 추상적이고 구조화된 형태로 표현하는 과정 ! 데이터 모델링이란 ? 데이터 모델링이란 주어진 개념으로부터 논리적인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즉, 현실의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정보모델링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개체, 관계, 속성을 중심으로 명확하게 체계적으로 표현하고 문서화하는 기법을 데이터 모델링이라고 합니다.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1. 개념적 모델링 개념적 모델링은 내가 하고자 하는 일의 데이터 간의 관계를 구상하는 단계입니다. 각 개체들과 그들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표현하기 위해 ERD 다이어그램을 생성합니다. 3가지의 단계중 추상화의 수준이 가장 높고 핵심 엔티티(Entity)를 추출하는 단계입니다. 2. 논리적 모..

[CS] DataBase 정규화(Normaliztion)란 ?
IT이론/데이터베이스2024. 2. 29. 16:46[CS] DataBase 정규화(Normaliztion)란 ?

요약 정규화란 Entity(테이블)를 분해하는 과정이다 ! 정규화의 개념 하나에 테이블에 많은 속성을 넣게 되면, 해당 테이블를 조회할 때 마다 많은 양의 데이터가 조회될 것이므로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하나의 테이블에 넣는식으로 테이블을 분해하는 과정을 정규화라고합니다. 데이터의 일관성, 최소한의 데이터 중복, 최대한의 데이터 유연성을 위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고 데이터 모델의 독립성을 확보하는 과정입니다. 데이터 이상현상을 줄이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설계 기법입니다. 제1 정규화부터 제5 정규화까지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는 제3 정규화까지만 수행됩니다. 정규화의 단계 [ 제1 정규화(1NF) ] 제1 정규화란 테이블의 컴럼이 원자값(Atomic Value, 하나의 값)을 갖도..

image